WINDA BLOG

영화, 건강, 생활 리뷰 및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지붕 위의 바이올린> 탄생 배경, 줄거리, 뒷이야기

by blueone2 2023. 2. 20.
반응형

지붕 위의 바이올린의 원제는 "Fiddler on the Roof"이다. 우크라이나가 배경이고 러시아의 침공이 있었을 때이다. 영화는 노만 쥬이슨이 감독을 맡은 뮤지컬 가족 영화입니다.

지붕 위의 바이올린 포스터 사진

뮤지컬 영화의 탄생 배경

이 뮤지컬 영화는 한 가장의 이야기를 다룬 숄롬 알라이켐의 1949년도 소설인 "우유장수 테비에"에서 1957년에 나온 연극 "테비에와 그의 딸들"로 각색이 되었다가 1964년에 브로드웨이에서 뮤지컬 "지붕 위의 바이올린"으로 선보였다. 그 이후로 1971년에 뮤지컬 영화로 만들어졌다.

원래 제목은 "Fiddler on the Roof"인데 이것은 지붕 위의 바이올린 연주자라는 뜻입니다. 한국으로 넘어와서 연주자라는 뜻이 빠지고 "지붕 위의 바이올린"이 되었습니다.

 

영화에서 나오는 Sunrise Sunset은 1964년에 브로드웨이의 뮤지컬(Fiddler on the Roof)에서 나오는 곡입니다. 이 음악은 미국의 제리 복이 작곡을 하였고 셸던 하닉이 가사를 썼습니다.

 

이 뮤지컬은 1905년 러시아 차르국의 작은 유대인 마을 아나테프카를 배경으로 합니다. 다섯 딸을 둔 가난한 우유 배달부인 테비에가 변화하는 세상에서 가족의 유대인 전통과 삶의 방식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테비에의 세 장녀는 각각 전통적인 중매 제도에 도전하는 남성들과 사랑에 빠지며 가족과 공동체 내부의 갈등으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이 뮤지컬은 전통, 가족, 사랑, 믿음, 그리고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하기 위한 투쟁의 주제를 탐구합니다.

 

뮤지컬 영화 줄거리

1905년 러시아제국의 지배를 받던 우크라이나 지방의 작은 마을인 아나테브카가 배경입니다. 이 마을은 유대인이 살고 있었습니다. 나라와 땅도 없는 떠도는 신세이지만 우유 가공업을 하는 아버지인 테비에와 딸 다섯이 함께 살고 있었습니다. 아버지는 전통을 중시하고 신앙심이 깊은 남자입니다.

 

집안은 가난하지만 행복하게 살고 있었습니다. 유대민족은 중매로 결혼을 하는 것을 중요한 삶의 한 가지로 생각하는데 어느 날 장녀 짜이텔이 아버지와 상의도 안 하고 양복점 직공을 사랑하게 되었고 그와 결혼을 하겠다고 하였습니다.

 

아버지인 테비에는 이 상황이 내키지 않았지만 딸의 의지를 꺾을 수가 없는 상황이어서 결혼을 승낙하게 됩니다. 그런데 결혼식이 열리는 식장으로 러시아 경관이 들이닥치는 바람에 식장은 아수라장이 되어버립니다. 이는 러시아 혁명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어렵사리 장녀인 짜이텔의 결혼은 마쳤지만 이어서 둘째딸이 밀본이라는 가난한 사람과 결혼을 하겠다고 하였습니다. 게다가 셋째까지 러시아 청년하고 사랑에 빠지면서 몰래 도망쳐버립니다. 그러는 와중에 러시아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결국 그 여파가 작은 마을인 아나테브카에까지도 밀어닥치게 됩니다.

 

유대인에 대한 퇴거 명령이 떨어지게 된 것입니다. 결국에는 테비에 가족을 비롯한 유태인들은 살고 있던 땅을 떠나고 미국에서의 재회를 약속하며 마을을 떠나가게 됩니다.

 

영화 뒷이야기

이 영화에서는 실제로 지붕 위에서 바이올린 연주를 하였는데 그 음악은 이 영화 속의 지방이면서 우크라이나 출신인 아이작 스턴(Isaac Stern)이 직접 연주를 하였습니다. 그는 유명한 바이올린의 대가입니다.

 

영화에서 나오는 OST는 "선라이즈 선셋", "전통", "중매쟁이", 내가 부자라면" 등이 있습니다.

감독은 "노먼 주이슨"인데 유대인이긴 하지만 캐나다 토론토 출신입니다.

 

이 영화의 연출과 촬영도 인상적입니다.노먼 주이슨 감독은 마을을 한눈에내 려다보는 샷과 친밀한 클로즈업으로 캐릭터와 그들의 세계에 생동감을 불어 넣어 토리의 감정적 깊이를 전달하는데 탁월한솜씨를 발휘합니다. 전반적으로 시대를 초월한 뮤지컬 영화로 관객에게 풍부하고 감동적인 경험을 선사합니다. 전통, 가족, 신앙이라는 주제는 보편적이며 모든 배경을 가진 시청자의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뮤지컬을 좋아하시거나 고전 영화를 찾고 계신다면 꼭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